티스토리 뷰

반응형

한국농촌경제연구원는「농업전망 2025」를 발표했습니다.「농업전망 2025」는 농업·농촌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설계하고 변화의 흐름 을 선도하기 위해 2025년 농업 및 농가경제를 전망하였 습니다. 또한, 안정적인 수급을 위한 선제적 대응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주요 농축임산물의 산업별 수급 현황과 추세를 분석하여 중장기 수급 상황을 전망하였습니다. 「농업전망 2025」가 농업 분야 관련자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1) 표고버섯

∙ 2024년 생표고 생산량은 2023년(16,458톤) 대비 4.9% 감소한 15,651톤으로 추정된다. 건표 고 생산량은 전년(699톤) 대비 5.2% 감소한 663톤(생표고 환산 4,846톤)으로 추정된다.

∙ 2025년 표고버섯 생산량은 19,800톤(생표고 15,150톤, 건표고 4,650톤), 2034년은 14,530 톤(생표고 11,310톤, 건표고 3,220톤)으로 감소 추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2) 떫은감

∙ 2024년 떫은감 생산량은 개화기 기상 양호로 초기 착과량 증대와 냉해 및 병충해 감소로 2023년(150,652톤) 대비 17.2% 증가한 176,630톤 내외로 추정된다.

∙ 2025년 떫은감 생산량은 173,560톤, 2034년은 148,200톤으로 감소 추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3) 밤

∙ 2024년 밤 생산량은 37,210톤으로 2023년(39,797톤) 대비 6.5%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착과량은 양호하였으나 여름철 고온 현상으로 조·중생종 작황이 부진하였다. 만생종 품질 은 조·중생종 대비 양호하나, 평년보다는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 2025년 밤 생산량은 36,690톤, 2034년은 32,320톤으로 감소 추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4) 대추

∙ 2024년 대추 생산량은 7,236톤으로 2023년(7,422톤) 대비 2.5%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고온 피해 및 국지적 호우로 열과 피해가 발생하여 작황이 부진하였다.

∙ 2025년 대추 생산량은 7,180톤, 2034년은 6,620톤으로 감소 추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반응형